이 글에서는 자동차보험 할인할증 등급표와 기준조건 변동요인 조회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차를 운전한다면 필수로 가입하고 매년 갱신을 해야 하죠. 이때 사고 이력에 따라 보험료가 할인되기도 하고, 할증이 붙기도 합니다.
저는 예전에 사고났을 때 자차 (자기차량 손해담보) 처리로 수리했던 적이 있는데요. 내 돈 안 들이고 고쳤다고 마냥 좋아할 일이 아니라 보험료 할증이 되어서 그만큼 또 많이 내야 하더라고요. 자차가 차지하는 금액이 가장 크기 때문에 특히 저같은 경우라면 본인의 등급과 변동되는 액수를 잘 따져 보셔야겠습니다.
자동차보험료 등급 요율 계산공식
자동차 보험은 차주가 필수로 가입해야 하며 보험료 차등화가 적용되는 항목입니다. 1년마다 갱신이 되면서 금액이 다시 책정되는데요. 어떤 등급 요율에 의해 계산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계산 수식 = 기본 보험료 x 특약요율 x 가입자 특성요율 x 특별요율 x 우량할인/불량할증 x 사고건수별 특성요율
- 기본보험료 : 기본적으로 차량의 종류, 크기(배기량), 용도, 운전자의 성별과 나이에 따라 달라집니다. 파손시 복구비용이 높게 책정되는 차라면 그만큼 보험료도 많이 내겠죠?
- 특약요율 : 해당 차량의 운전자 연령 범위를 제한하거나, 가족 대상으로 운전자 한정시 적용
- 가입자 특성요율 : 가입 기간과 교통법규 위반 경력에 따라 적용
- 특별 요율 : 블랙박스, 에어백 등 차량 구조에 따라 적용
- 우량할인/불량할증 : 그동안 사고를 낸 실적에 의해서 적용
- 사고건수별 특성요율 : 최근 3년간 무사고인지, 사고가 몇 건인지에 따라 적용
기본보험료, 특약요율, 특별요율 이건 가입시 정해지는 불변 값이고요. 가입자 특성요율은 기간과 벌점에 따라 정해지니 이것도 당시의 조건에 따라 이미 정해진 값입니다.
갱신 때 보험료를 달라지게 만드는 요인은 결국 최근 사고건수, 그리고 빨간색으로 표시한 우량할인/불량할증 항목에 좌우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게 오늘 말씀드릴 할인할증 등급입니다. 몇 등급이냐에 따라서 최종 계산될 보험료에 %를 곱하게 됩니다.
무사고이면 보험료를 할인해 주고, 사고 차량이면 할증을 시키는 이유는요? 안전 운전을 유도해서 사고를 감소시키고 합리적인 보험료를 운영하는 제도입니다. 뭐니뭐니해도 돈 깎아주는 게 가장 큰 동기부여가 될 테니까요.
자동차보험 할인할증 등급표
등급에 따라서 갱신금액이 달라진다고 말씀드렸죠. 2023년에 적용될 할인할증 등급별 변동률 살펴보겠습니다. 여기에 있는 % 만큼 위에 말씀드린 수식에 곱연산으로 들어간다 보시면 됩니다.
등급 | 개인용 | 업무용 소형차 | 업무용 소형차외 | 영업용 화물,택시 |
01Z | 177.8 | 200.0 | 158.0 | 190.9 |
02Z | 140.5 | 152.2 | 141.5 | 164.2 |
03Z | 124.0 | 143.0 | 137.6 | 138.7 |
04Z | 112.9 | 115.8 | 121.2 | 114.0 |
05Z | 112.2 | 115.6 | 119.6 | 113.4 |
06Z | 99.0 | 101.9 | 115.1 | 103.9 |
07Z | 98.8 | 99.3 | 103.1 | 88.6 |
08Z | 91.0 | 98.1 | 99.3 | 88.4 |
09Z | 85.3 | 92.6 | 92.6 | 84.6 |
10Z | 83.5 | 81.3 | 91.5 | 78.6 |
11Z | 78.4 | 81.1 | 80.5 | 78.3 |
12Z | 71.0 | 74.9 | 76.6 | 66.4 |
13Z | 65.2 | 65.0 | 71.0 | 59.3 |
14Z | 61.5 | 63.3 | 65.0 | 49.0 |
15Z | 57.7 | 59.0 | 59.8 | 48.8 |
16Z | 53.8 | 55.1 | 53.9 | 46.4 |
17Z | 52.8 | 53.1 | 50.1 | 46.2 |
18Z | 49.7 | 50.8 | 46.1 | 40.4 |
19Z | 47.7 | 48.7 | 45.3 | 40.2 |
20Z | 47.3 | 46.4 | 44.7 | 37.5 |
21Z | 45.1 | 46.2 | 43.4 | 37.3 |
22Z | 42.7 | 43.2 | 41.6 | 36.4 |
23Z | 41.8 | 37.3 | 41.4 | 35.0 |
24Z | 40.6 | 36.5 | 40.7 | 33.9 |
25Z | 38.5 | 34.3 | 39.6 | 33.0 |
26Z | 37.5 | 31.3 | 35.8 | 30.9 |
27Z | 35.1 | 31.1 | 35.6 | 30.7 |
28Z | 34.0 | 30.2 | 35.4 | 30.5 |
29Z | 31.3 | 30.0 | 32.9 | 30.0 |
29P | 31.3 | 30.0 | 32.9 | 30.0 |
개인용 차량, 업무용 차량, 그리고 영업용 중에서는 개별화물 및 택시에 대해서 정리한 등급표입니다. 영업용 중 화물특수, 대여차, 버스택시, 건설기계 궁금하신 분은 각 보험사 홈페이지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위 등급표는 삼성화재 기준인데요, 보험사마다 요율이 조금씩 다릅니다. 직접 비교해보니 낮은 등급에서는 차이가 좀 나는데 6~7단계 정도 올라가면 그 이후는 1~2% 차이로 비슷비슷 하더라고요. 정확한 보험사별 차종에 따른 등급 적용률은 이 곳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01이 가장 나쁜 쪽이라 할증이 많이 붙는 쪽이고, 29가 가장 높은 단계입니다. 할인할증 등급표에서 3년 무사고시 그때부터 매년 한 등급씩 상승합니다.
각 단계 숫자옆에 알파벳이 붙어있는데 그 의미도 말씀드릴게요.
- Z(Zero) : 일반 등급
- F(Five) : 두 등급의 중간단계
- P(Protection) : 29Z 이후에 받는 장기무사고 보호등급 (안전운전 만렙 끝판왕)
29P가 된 장기무사고 보호등급 운전자는 어떤 혜택이 있을까요? 만약 사고가 났는데 1점 이하의 경우라면 할증이 생기지 않고요. 2점 이상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 1점을 뺀 나머지 점수만으로 계산하는 보호제도입니다.
할인할증요인 변동 이유 조회시스템
이렇게 할인할증 등급을 포함해 보험료 변동의 이유가 궁금할 때가 있으시죠? 보험개발원에서 만든 자동차보험료 할인/할증요인 조회시스템 이라는 사이트입니다.
들어가셔서 본인인증을 하시면 바로 차량을 고르고 전 계약과 갱신할 현 계약에 대한 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렇게 사고이력 등 어떤 원인에 의해 할증기준 적용을 받은 것인지, 어떤 사유로 할인되는 것인지를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 혼자 박아서 자차처리한 것 때문에 전 계약에는 3년 이내 사고 1건이 있었고 그래서 등급도 떨어져서 14Z였네요. 그 후 3년 무사고가 다시 되어서 직전 3년 0건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할인할증 등급도 14Z에서 → 15Z로 상승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참고로 N이라던지 ZZZ와 같이 표시되어 있는 특별할증 그룹은 이 글의 할인할증 등급과는 또 별도의 개념입니다. 직전 3년간, 직전 1년간 사고이력을 나타내주는 기호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할인할증 등급표와 적용률, 변동사유 보는 조회시스템 소개해 드렸습니다. 역시 뭐니뭐니해도 무사고 안전운전 기간을 늘리는 게 자동차 보험료 아끼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자동차보험의 각 항목별 보장내용에 대해서도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