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 정부기여금 매칭비율과 한도가 대체 무슨 뜻?

청년도약계좌 신청이 오늘부터 시작되었습니다. 폭넓은 나이 조건에 많은 분들이 해당되셔서 관심 가지실텐데요. 보다보면 헷갈리는게 정부 지원금이 얼마인지입니다.

정부 기여금 지급한도, 매칭비율 이런 알쏭달쏭한 용어로 정의하고 있어서 이해가 어렵습니다.

또 인터넷 찾아봐도 청년도약계좌 정부 기여금 내용을 잘못 이해하고 무작정 베껴서 써놓은 블로그들 투성이더라고요. 여기서 포인트만 확실하게 알려드립니다.

먼저 제가 지급 규정 정리한 표를 봐주세요.

총급여금액월 기여금
지급한도
기여금
매칭비율
기여금
한도 (월)
2400만원이하40만원6.0%2.4만원
3600만원이하50만원4.6%2.3만원
4800만원이하60만원3.7%2.2만원
6000만원이하70만원3.0%2.1만원

6000만원초과 7500만원 이하까지는 청년도약계좌 가입시 정부기여금 없이 비과세 혜택만 제공되어서 표에서 제하였습니다.

자 이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여기서 월 기여금 지급한도라는건 이 금액에 대해서 일정 비율을 적용하겠다는 것입니다. 그 비율이 매칭비율이고 비율을 곱한 금액만큼 정부에서 주는 지원금이 맨 오른쪽 금액이 됩니다.

2400만원 이하 소득인 사람은 월 납입액 최대 40만원까지 그것의 6퍼센트를 정부에서 추가로 지원해준다는 뜻이고요. 그러면 최대 40만원*6퍼센트=2.4만원이 되는 식입니다. 지급한도라는 말이 헷갈리게 되어있는데 매칭비율 적용한도 라고 하는 것이 보다 정확하겠습니다.

본인 납입한도는 소득구간이 얼마던 월 70만원으로 동일한데요. 70만원씩 납부하더라도 소득구간에 따라 얼마의 금액까지 매칭비율을 적용해서 지원해주는게 달라지는 것이죠.

총급여종합소득금액
2400만원이하1600만원이하
3600만원이하2600만원이하
4800만원이하3600만원이하
6000만원이하4800만원이하
7500만원이하6300만원이하

소득 금액은 총급여 기준으로는 왼쪽과 같고 이를 종합소득금액으로 환산하면 우측과 같이 됩니다.

중간에 퇴직해서 소득이 상실되는 경우, 이직을 해서 소득이 많아지거나 줄어드는 경우에 청년도약계좌 가입 상태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다만 7500만원 초과되면 조세특례법에 의해서 비과세 혜택은 받을 수가 없어서 다음해에 없어집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정부기여금 조건을 상황별로 정리하면 아래 표처럼 됩니다.

정부기여금 액수 계산

한달에 납부하는 금액이 각각 20만원에서 70만원일 때, 그리고 소득 기준에 따른 정부기여금 매칭비율이 3~6% 중에서 달라질 때 각각 얼마씩 받는지 표시한 것입니다.

한달, 일년, 5년(청년도약계좌 만기) 기준으로 표현하였으니 해당되는 조건에서 찾아서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한달에 70만원씩 낼건데 소득 구간이 3600만원 이하 구간이라 4.6퍼센트 매칭비율을 적용받는다면 50만원에 대해 4.6퍼센트인 2만3천원을 받으시게 됩니다. 5년만기동안 총 받는 정부기여금은 138만원입니다.

정책 최초 발표때 4200만원 납입하면 800만원 지원해서 5천만원 목돈 만들어준다는 식으로 잘못 알려졌는데요. 계산을 한 번 해보죠.

위 표에서 매칭비율 최대인 월 납입액의 6%를 제공해서 5000만원 만들려면 1.06=50000000, (복리가 아니라 대충 계산한거지만) 원금 4717만원을 내야 한다는 계산입니다. 800만원은 대체 어디에서 나온 소리인지 모르겠네요.

위에 엑셀표 붙여드린 계산결과가 실제로 청년도약계좌 가입시 받게되는 정부기여금 액수이니 착오 없으시길 바라겠습니다.

오늘부터 5일제 신청기간이 시작되니 은행 앱 비대면 접수방법 참고하셔서 꼭 신청하시기 바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