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절기는 황도에 따라 1년을 24개의 기간으로 나누어 정한 날짜들이다. 황도란 태양의 움직임을 말하며 태음력을 보완하는 태양력으로 중국에서 최초로 나온 발상이다. 24절기의 유래와 이 날짜들이 양력인지 음력인지 알아본다.
태음력을 쓰면 달이 차고 기우는 변화로부터 날짜 변화를 알기는 쉬웠으나, 1년의 계절이 바뀌며 농사에 중요한 날씨 변화를 감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괴리 때문에 황도를 기준으로 한 24절기가 나오게 된 것이다.
아래에 봄/여름/가을/겨울 별로 24절기 이름과 날짜, 특징을 정리하였다. 한가지 주의할 점은 24절기는 음력 달력을 기준으로 한 것이 아니다. 매년 날짜가 달라지고 오래된 고대의 유산이기 때문에 많은 이들이 음력날짜 기준으로 오해를 하고 있을 뿐이다.
생각해보면 24절기를 태양의 이동인 황도를 기준으로 만들었다고 했으니, 당연히 양력이 기준이 된다. 오히려 그에 매칭되는 음력 날짜가 매년 달라지는 것이다.
봄 | 입춘 (立春) | 2월 4일 | 봄이 시작되는 날이다. 콩을 뿌려 악귀를 쫓고 좋은 글귀를 써붙이는 한해의 시작 |
우수 (雨水) | 2월 18일 | 눈이 비가 되고, 얼음이 녹아 물이 된다. 대동강에 물고기가 올라오며 기러기가 추운 북쪽으로 떠나기 시작 | |
경칩 (驚蟄) | 3월 5일 |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나는 날이다. 이무렵 보리싹 상태로 한 해의 농사가 흉년일지 풍년일지 가늠했다. | |
춘분 (春分) | 3월 20일 | 태양 황경이 0도인 날로 적도를 똑바로 비추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낮과 밤의 시간이 같다. | |
청명 (淸明) | 4월 5일 | 화창한 날씨에 나무심기 좋은 날 | |
곡우 (穀雨) | 4월 20일 | 작물이 잘 자라게 해줄 단비가 내리는 시기이다. 나무에 차오른 곡우물을 받아 마시려고 산을 찾는 사람들도 있다. |
여름 | 입하 (立夏) | 5월 5일 | 여름의 시작이다. 농작물을 자라고 덩달아 해충도 나타나서 바빠지는 시즌이다. |
소만 (小滿) | 5월 21일 | 가득차게 된다는 뜻으로 충만한 태양빛을 받아 만물도 풍성해진다. 초여름 모내기 시즌에 해당된다. | |
망종 (芒種) | 6월 6일 | 농사일이 한창 바쁜 시기, 모내기를 하면서 보리 씨를 뿌리는 시기이다. 옛말에 망종이 일찍 들면 보리농사가 풍년이라 하였다. | |
하지 (夏至) | 6월 21일 | 태양의 황경이 90도로 1년 중 낮시간이 가장 길다. 이때부터 감자 수확철로, 생감자가 아닌 햇감자 포카칩을 먹을 수 있다. | |
소서 (小暑) | 7월 7일 | 장마전선이 걸치기 시작해서 습하고 비가 많이 내린다. | |
대서 (大暑) | 7월 22일 | 큰 더위라는 뜻으로 여름 무더위가 극에 달한다. 삼복더위 중 중복이 대서 부근에 겹치게 된다. |
가을 | 입추 (立秋) | 8월 7일 | 가을의 시작으로 바람이 서늘해진다. |
처서 (處暑) | 8월 23일 | 더위가 멈추는 절기이다. 추석을 앞두고 벌초를 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아침저녁 일교차가 심해진다. | |
백로 (白露) | 9월 7일 | 이름이 아름다운 절기이다. 하얗게 맺힌 이슬이 보인다는 뜻으로 장마 후 맑고 쾌청한 날씨가 찾아온다. | |
추분 (秋分) | 9월 22일 | 춘분에서 반년이 지난 날로 역시 낮과 밤의 길이가 같다. | |
한로 (寒露) | 10월 8일 | 찬 이슬이 맺힌다는 뜻이다. 이 시기에는 추수가 한창이다. | |
상강 (霜降) | 10월 23일 | 밤에는 추워서 서리가 내린다. 동물들은 겨울잠에 들어간다. |
겨울 | 입동 (立冬) | 11월 7일 | 겨울의 시작, 김장준비를 한다. |
소설 (小雪) | 11월 22일 | 슬슬 눈이 내리기 시작한다. | |
대설 (大雪) | 12월 7일 | 눈이 많이 내리는 시기이다. 대설이 내리면 이듬해 풍년이라는 속설이 있었다. | |
동지 (冬至) | 12월 21일 | 북반구 기준으로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이다. 팥죽을 쑤어서 먹고 악귀를 쫓았다. | |
소한 (小寒) | 1월 5일 | 대한이 소한네 놀러갔다가 얼어죽었다는 농담도 있을 정도로 가장 추운 절기이다. | |
대한 (大寒) | 1월 20일 | 절기 이름으로는 대한이 더 춥지만 실제로는 소한때 얼음이 얼고 대한때 녹는 경우도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