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로 꺾은선 차트를 그리다 보면 중간중간 데이터가 비어있는 부분 때문에 선이 끊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것을 알아서 자연스럽게 연결해주도록 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데이터가 없는 부분은 이렇게 중간에 끊어져서 보기 싫은 형태의 그래프가 되어버린다. 엑셀에서 꺾은선 그래프로 차트를 그릴때 이렇게 중간이 끊어진 형태라던지, 0값으로 인해 그래프가 갑자기 바닥을 찍고오는 등 이상한 형태로 보이는 것을 해결하는 방법이다.
그래프 끊어지는 원인
차트 그래프가 끊어지는 원인은 이렇게 원본 데이터 중에서 빈칸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기본적인 해결방법은 이 데이터가 비어있는 부분들을 NA함수를 이용해서 오류값을 반환하도록 처리해주는 것이다.
해결방법 : NA함수 입력
빈칸에 다음과 같이 =NA() 를 입력해주도록 한다.
NA함수에 대한 설명
#N/A 오류 값을 반환한다. #N/A는 “사용할 수 있는 값이 없음”을 의미한다. Not Applicable (해당 없음) 또는 Not Available (이용할 수 없음) 이라는 뜻의 약자이다.
NA를 사용하면 빈 셀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정보가 누락된 셀에 #N/A를 입력하여 계산에 빈 셀이 포함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수식이 #N/A를 포함하는 셀을 참조할 경우에는 #N/A 오류 값이 반환된다.
빈 칸들에 NA함수를 입력해놓으면 이렇게 해당 칸이 에러가 난것처럼 오류값으로 출력된다. 오류값이 출력되어 있으면 신기하게도 꺾은선 차트에서 이빨빠진 부분이 앞뒤 데이터로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엑셀2016 NA함수를 사용해 빈칸을 오류값으로 출력해준 후, 꺾은선 차트의 이빨빠진 그래프가 자연스럽게 연결된 모습. 직접 앞뒤 데이터의 평균값을 넣어준다거나 하는 것보다 이 방법이 훨씬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빈칸들 한번에 NA 함수 입력하기
그런데 데이터가 몇개라면 몰라도 수만개라면 이걸 언제 다 입력하고 있을까. 엑셀에서는 한번에 빈칸을 모두 선택해서 값을 입력하는 방법이 있다.
이렇게 영역을 지정해 준 뒤, F5를 누른다. 그럼 어느 셀로 이동할 것인지 묻는 팝업메뉴창이 뜨는데 여기서 옵션을 클릭한다.
이동메뉴의 옵션에는 위와 같은 것들이 있는데 여기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빈셀을 선택한다.
✔️ 빈 셀들을 동시에 선택 후
✔️ F2키를 누르면 첫번째 셀에 내용 타이핑 할 수 있게 커서 입력 상태가 된다.
✔️ =NA() 입력후에 그냥 엔터가 아닌 Ctrl+Enter 를 눌러준다.
✔️ 빈셀 전체에 NA 함수로 오류값 반환된다.
데이터가 수만 수십만개여도 이 방법으로 한번에 입력할 수 있다. 이번처럼 NA 함수를 쓰는 경우가 아니라도 특정 문구를 동시에 수정하거나 채워넣을때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차트 메뉴에서 선 연결하기
마지막으로 개별 차트에서 표시방법을 바꿔주는 방법이다.
이렇게 차트에 우클릭 한 뒤 데이터 선택을 누른다.
원본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는 팝업창이 뜨는데 여기에서 왼쪽 아래에 숨겨진 셀/빈 셀 버튼을 클릭한다.
빈 셀 표시형식이 초기값이 <간격> 으로 되어있는데 이걸 <선으로 데이터 요소 연결>로 골라준다. 확인을 누르고 데이터 원본 선택 화면에서 다시 확인을 누르면, 그래프의 끊어진 부분이 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