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나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하실 때, 분명히 파비콘을 지정했는데 네이버와 같은 검색 결과에서 안나올 때가 있습니다. 티스토리의 경우는 주황색 T, 그리고 워드프레스는 하늘색 지구본 형태의 기본 아이콘으로 표시되죠.

시간이 지나면 네이버나 구글에서도 알아서 파비콘 등록정보를 인식해서 검색 결과에 반영해 주는데요. 한국 사람이라면 기약없이 마냥 기다리는건 성미에 맞지 않습니다. 내 블로그의 파비콘 경로를 직접 알려줘서 빠르게 노출시키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티스토리와 워드프레스가 비슷하긴 한데 방법이 살짝 다르니 각각 나눠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일단 무료 아이콘 다운로드 사이트를 통해 원하는 파비콘은 준비되셨다고 가정하고 설명하겠습니다.
티스토리 파비콘 설정
파비콘 등록
티스토리 관리자 메뉴 맨 아래에 관리 > 블로그 항목으로 들어갑니다. 여기에서 ICO 파일형식으로 파비콘을 업로드 해줍니다.
파비콘 경로 지정
업로드한 파비콘 이미지가 보이면 마우스 우클릭을 하고 이미지 주소 복사를 누릅니다. 그 상태에서 주소창에 붙여넣기를 해보시면 실제로 파비콘 ICO 파일 이미지가 티스토리 서버에 업로드 된 경로가 나올 것입니다.<link rel=”shortcut icon” href=”https://파비콘이미지주소”/>
복사한 주소를 위 link 태그 소스의 href 주소 부분에 입력합니다. 그리고 link 태그 한줄을 티스토리 스킨 수정에 넣어주면 됩니다.
티스토리 스킨 편집에서 HTML수정으로 들어가신 뒤, <head> ~ </head> 사이 부분에 이렇게 넣어주시면 됩니다. 업로드한 파비콘 이미지 파일의 경로를 직접 지정해서 이 사이트의 파비콘이 이거다 라고 말해주는 의미입니다.
이렇게 올리시고 잠깐 기다리시면 금새 네이버 검색 결과에 파비콘이 떠서 노출됩니다.
워드프레스 파비콘 설정
워드프레스도 티스토리와 마찬가지로 자체적으로 파비콘을 등록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파비콘 등록
외모 > 사용자 정의하기 > 사이트 아이덴티티 > 사이트 아이콘 부분에 이미지를 올리시면 됩니다. 하지만 이렇게 하고 기다려도 네이버 검색결과에 뜨지 않고 계속 회색 지구본 모양만 보이신다면, 마찬가지로 직접 경로를 지정해줄 수 있습니다.
파비콘 직접 지정
먼저 워드프레스는 도메인의 루트 디렉토리에 파비콘 파일을 업로드 해줍니다. 파일질라와 같은 무료 FTP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올려주시면 됩니다.
클라우드 웨이즈 호스팅 + 제너레이트 테마 사용 기준으로 말씀드리면, public_html 폴더가 도메인의 루트 디렉토리입니다. header, config를 비롯한 각종 php 파일들이 들어있는 곳이 루트라고 보시면 됩니다.
FTP로 업로드를 해주셨으면, 워드프레스 관리자 메뉴에서 외모 > 테마 파일 편집기 > 차일드 테마 > header.php로 들어갑니다. 티스토리 스킨수정과 마찬가지로 <head> ~ </head> 사이에 다음과 같은 코드를 한 줄 추가해줍니다.<link rel=”icon” type=”image/x-icon” href=”https://도메인주소/favicon.ico”>
루트 디렉토리에 업로드했기 때문에 주소창에 https://도메인주소/favicon.ico 를 입력하시면 올려놓은 아이콘 이미지가 화면에 보일 것입니다.
이렇게 지정해주면 워드프레스 사이트의 파비콘이 이 경로에 있다 라고 직접 언급해주는 것이기 때문에 보다 빠르게 검색 결과에서 나타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