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밈용어인 핑프의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핑프 철벽수비’와 같이 사절한다는 의미로 자주 쓰이곤 하는데요. 당근마켓 용어 중에서 예민맘 사절과 같은 뉘앙스로 읽히는 단어입니다.
핑프 뜻
핑프는 핑거 프린세스(finger princess)의 약자입니다. 손가락 공주님이라는 뜻으로 부르는 말인데요. 이는 손가락 하나 까딱하지 않는 사람을 지칭하는 말입니다.
그렇다고 움직이기를 귀찮아하고 요리나 집안 살림을 할 줄 모르는 곱게자란 온실 속 화초를 부르는 말이 아닙니다.
온라인 상에서 대화를 할 때 직접 검색해서 찾아보지 않고 무조건 물어보면서 뭐냐, 어떻게 해야하냐고 질문하는 사람들을 지칭할 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면 어떤 돈을 정부에서 환급받는 정책이 나와서 오늘부터 시작됐다고 해보겠습니다. 누가 게시판에 소식을 알려주면서 이거 오늘부터 받을 수 있대 빨리 가서들 신청해~ 하고 글을 씁니다.
보통은 그걸 보고 찾아가서 신청하거나 아니면 글쓴이가 걸어준 링크를 눌러서 가보기 마련인데요. 핑프족들은 이게 뭔데? 어디서 신청하는거야? 와 같은 기초적인 질문을 다시 물어봅니다. 작성자 입장에서는 똑같은 답변을 여러번 하게 만들어서 힘에 부치죠. 때로는 나는 이러이러한 경우인데 신청돼? 하고 꼬치꼬치 끈질기게 물어보기도 합니다.
사용하게 된 유래
처음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부터 입니다. 특히 여초 카페같은 곳에서 무턱대고 뭔데? 무슨 말이야? 라고 재설명을 요구하는 부류가 나타나면서 핑프라는 말이 유행하게 되었습니다.
더욱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면 파란 화면에 PC통신 하던 시절에도 유사한 뜻은 있었는데요. 대표적으로 ‘LT를 생활화합시다’ 라는 말이 있습니다. LT는 어떤 키워드를 검색할 때 쓰는 명령어였는데, 예를 들어 ‘LT 소설’ 이라고 치면 소설 단어가 들어간 글을 검색하는 명령어입니다. 즉, 무조건 묻기전에 검색을 먼저 해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웃긴건 누가 다른 사람한테 핑프라고 말한 경우, 또 다른 이가 ‘핑프가 뭐야?’ 라고 물어보면 그 사람에게 ‘축하합니다. 당신은 핑프입니다.’ 라고 대답해주기도 합니다. 핑프가 뭔지 쳐보면 5초만에 나오는데 그걸 물어보고 있으니 니가 핑프다 라는 의미입니다.
대부분은 그게 뭔데? 라는 타이핑 할 시간에 구글 검색창에 쳐보면 바로 답이 나오는 경우가 많으니까요.
2010년대 초반 여초 커뮤니티에서 시작된 핑프의 유래가 지금에 와서는 대중적으로 두루 쓰이는 단어가 되었습니다. 또한 남자한테도 사용하는데 핑거 프린스 (finger prince)라고 불러도 줄이면 핑프로 동일하기 때문입니다.
핑프 퇴치방법
여러 정보공유 사이트들에서는 이런 핑프족들 때문에 맥빠지고 지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대처 방안을 강구하고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선검색 후질문
- FAQ (자주묻는 질문) 먼저 정독하기
- 닥눈삼 : 닥치고 눈팅 삼일 하다보면 파악이 된다는 뜻
사실 FAQ는 회사 홈페이지 같은 곳에도 마련되어 있는 경우가 많죠. 자주 묻는 질문들은 추려서 답변을 공지해놓는 것이 본인들 고객센터 업무량도 줄일 수 있는 방법일 테니까요.
갈수록 글보다는 영상, 긴것 보다는 짧은 것에 익숙해지면서 간단한 검색조차 귀찮아하는 핑프족들이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궁금한 것은 직접 검색해보는 습관을 기르도록 노력합시다. 핑프의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