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김서림 원인과 방지 버튼 조작방법

추운 겨울철이나 습한 여름철 장마기간에 운전하다보면 자동차 유리에 김이 서립니다. 갑자기 유리창이 뿌옇게 되면 시야 확보가 안되어 위험할 수도 있습니다. 차 유리에 김이 서리는 이유와 김서림 제거버튼 조작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동차유리 김서림 원인

겨울 : 결로현상

먼저 겨울철에 김서림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은 히터의 가동으로 인한 내외부 온도차이 입니다. 외부 온도가 낮기 때문에 차내에 히터를 켜서 따뜻하게 만들죠. 이럴 경우 내부 공기는 따뜻한데 외부 온도는 낮아서 차 유리의 안쪽 표면에 습기가 차게 됩니다.

과학적인 용어로는 결로 현상이라고 하는데요. 포화 수증기압 (현재 공기내에 최대로 머물 수 있는 수증기의 양)보다 현재 상태의 수증기가 더 많을때 초과되는 부분이 수분으로 맺히는 것입니다.

차가운 물을 유리컵에 따랐을 때를 생각해보시면 비슷합니다. 공기중에 있던 수증기가 차가운 유리컵 표면과 만날 때 포화 수증기압을 넘어서게 되고 이것이 표면에 물방울로 응결되는 것입니다. 따뜻한 공기 속에서는 수증기가 많이 들어있을 수 있는데 차가운 온도가 되면 순간 설 자리를 잃고 물이 되어 공기의 품에서 빠져나오는 셈입니다.

여름 : 외부응결

위에서 결로 현상을 이해하셨다면 여름철의 김서림 원인도 금새 아실 수 있습니다. 여름에는 반대로 밖이 덥기 때문에 차량 내부에 에어콘을 가동하게 되죠. 그러면 외부 공기가 차가워진 유리창 표면과 맞닿을 때 마찬가지로 응결이 됩니다.

자동차 김서림 해결방법

원인이 다르기 때문에 겨울철과 여름철의 김서림에 대한 제거 방법도 조금 상이합니다.

와이퍼

먼저 여름에는 외부 공기가 머금고 있던 습기가 유리창 바깥쪽에 맺힌 것이므로 와이퍼를 동작시키면 닦아집니다.

에어컨 조절

하지만 근본 원인인 온도차이가 해결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제거를 해도 금새 다시 맺힐 수 있습니다. 에어콘에서 나오는 바람의 방향이 유리에 직접 향하지 않도록 조절해주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환기

어찌보면 극약 처방인데요. 김서림 방지 버튼 조작법이나 해결방법에 대한 상식이 없으신 경우 순간 당황하실 수 있습니다. 운전중에 갑자기 앞이 뿌옇게 변하면서 안보이면 사고 위험이 높아지고 어떡하지 싶을 텐데요.

정 모르겠으면 일단 운전석 옆 창문을 열어버리면 됩니다. 그러면 외부와 내부 공기의 온도 및 습도가 순식간에 동화되면서 자동차 앞유리에 서렸던 김이 순식간에 빠지게 됩니다.

단 겨울철에는 히터로 따뜻하게 뎊혀놓은 내부가 순식간에 추워지게 되고, 여름철에는 비라도 오는 상황이면 빗물이 안쪽으로 튈 수 있습니다. 어쨌든 답을 못찾는 상황에서는 일단 창문이라도 열어서 임시방편으로 해결하시라는 것입니다.

습기제거

김서림의 원인은 1차적으로 온도 차이입니다. 하지만 습도가 높을 경우 결로 현상이 더욱 심해질 수 있습니다. 원인은 온도 차이지만 그로 인해 공기중의 수분이 맺히는 것이기 때문에 수분이 많은 상태라면 결과가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것이니까요.

따라서 차 내부에 습기를 낮춰주면 좋은데, 에어콘을 틀면 자동으로 습기제거 기능이 같이 동작합니다. 또는 차 내에 신문지를 두어서 습기를 머금게 함으로써 내부 습도를 낮추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건 집에서 옷장 같은 곳에 곰팡이 방지를 위해서도 종종 사용하는 방법이니 참고하세요.

김서림 방지 버튼 조작법

오늘 글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 최신 차량이나 고급 승용차 같은 경우는 앞 유리창에도 열선 같은 장치가 들어가 있고 자동으로 김서림 방지 기능을 동작 시킵니다.

하지만 좀 오래된 차량들은 수동 공조기 조작을 통해서 김서림 방지를 해주셔야 하는데요. 이 버튼 사용법만 잘 알아도 당황해서 창문열고 환기하는 일은 없으실겁니다.

김서림 방지버튼 모양은 아래와 같이 생겼습니다. 차량마다 위치는 다르겠지만 대략 에어콘 주변에 있을 것이고, 아이콘 모양은 동일할 것입니다.

김서림 방지 버튼

오른쪽에 부채꼴 모양으로 FRONT 라고 적혀있는 것이 앞유리 창의 김서림 방지 버튼입니다. 직사각형 모양으로 REAR 라고 되어있는 것은 뒷유리창의 김서림 방지 버튼입니다.

앞유리창은 냉풍이 나오면서 내외부 온도차를 맞춰서 김서림 제거를 하는 원리이고요. 뒷유리창은 열선을 동작시켜서 결빙을 방지하는 원리입니다. 사이드 미러에 열선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 함께 동작하게 됩니다.

참고로 김서림 방지 버튼을 누르면 A/C 불이 들어오게 되는데요. 에어 컨디셔너, 차량내부 공조기를 의미합니다. 자동차 에어콘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이게 같이 켜지면서 컴프레셔에 의해 전방 유리창 하단에서 냉풍이 분사됩니다. 

겨울철에는 A/C를 누르지 않아도 난방이 가능한데, 자동차 엔진에서 발생한 뜨거운 열기를 송풍구를 통해 보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다만 이럴 경우 제습 기능은 없어서 결로 현상이 생길 수 있으므로, 김서림이 발생한다면 A/C와 김서림 제거 버튼을 같이 동작시켜 주시면 되겠습니다. 

여름과 겨울에 각각 김서림 원인과 해결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유리창 김서림 제거 버튼 조작 방법 숙지하셔서 유리창 뿌옇게 되었을 때 당황하지 마시고 조치하시기 바라겠습니다.

평점 5 / 5. 참여 : 1

첫번째 평가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