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래 모국어는 자라면서 자연스럽게 학습을 합니다. 맞고 틀리고를 문법 떠올리지 않고 척 보면 감으로 알지요. 하지만 하지만 어떤 맞춤법은 설명을 들어도 금새 잊어버리고 또 헷갈리기 일쑤인데요. 되서 돼서 쉽게 구분하는 방법 알려드릴게요.
다음 중 올바른 표현은?
1) 버튼이 실수로 실행되서
2) 버튼이 실수로 실행돼서
알면 정답이 딱 보이는데 모르면 둘 다 맞는 것 같기도 하고 알쏭달쏭하시죠. 정답은 2번 ‘돼서’가 맞습니다.
‘돼’는 ‘되어’의 준말입니다. 위 예시에서 실행되어서 문제가 생겼다. 이런 식으로 말하려는 것인데 실행되어서 중에 ‘되어’가 줄어서 ‘돼’로 바뀝니다. 그러면
실행되어서 → 실행돼서
이렇게 줄어드는 것이죠.
그럼 되서는 언제 쓸 수 있을까요? 쓸 수 없습니다. ‘돼어’의 원형인 ‘되어서’ 라고 쓰면 모를까, ‘되서’ 라는 표기는 존재하지 않는 틀린 표현입니다.
되서와 돼서를 쉽게 구분하는 방법으로는 해와 하로 치환해보는 것입니다.
- 돼 → 해
- 되 → 하
이렇게 바꿔보면 어색한 문장을 금방 찾아낼 수 있습니다. 위 예문을 가지고 다시 해보겠습니다.
1) 버튼을 실수로 실행하서
2) 버튼을 실수로 실행해서
어느게 맞나요? 이번엔 금방 알 수 있겠죠?
이제 이정도는 마스터 하셨으니 더 어려운 문제하나 내보겠습니다. 예시 문장 중에서 맞는 것을 찾아보세요.
1) 일이 고되도 가족을 생각하며 힘을 낸다.
2) 일이 고돼도 가족을 생각하며 힘을 낸다.
원형이 ‘고되다’ 이기 때문에 1이 맞는거 같은 착각을 하기 쉬운데요. 여기서도 ‘고돼도’가 정답입니다. 어간 고되다 뒤에 어미 ‘-어도’ 결합되어 ‘고되어도’가 되고 이게 줄어들면서 ‘고돼도’로 바뀐 것이죠.
위에서 알려드린 해와 하를 이용한 치환방법으로 해보시면 하도, 해도 인데 하도는 뭔가 어색하죠. 해도가 되는 돼도 쪽이 맞습니다.
헷갈리는 한국어 맞춤법 되서와 돼서의 구분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걸 보셨다면 앞으로 다시는 혼동하지 않으시길 바라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