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톱 크롬에서 티스토리 블로그 작성을 하려는데 생전 처음보는 400 Bad Request 오류가 뜨면서 접근이 안되었다. 에러코드 400의 발생 원인과 해결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400 에러란?

🔺 티스토리 접속시 400 Bad Request 에러 화면
400 Bad Request
Request Header Or Cookie Too Large
openresty
openresty라는 것은 독립적인 웹 응용 서버이다. 오류메세지 설명도 헤더 또는 쿠키가 너무 크다는 내용이고, 뭔가 서버에 연결이 문제가 있다는 소리이다.
400 Bad Request Error는 주로 서버로 전송된 요청이 부적절한 경우, 또는 손상이 되어서 수신측인 서버에서 요청내용을 이해할 수 없는 경우 발생하는 에러이다. 대부분 사이트 측에 문제가 있는 경우라 접속자가 딱히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건데, 그렇다고 손 놓고 있을수는 없었다.
이상하게 이 현상이 크롬에서만 발생하고, 100%는 아니고 새로고침 하다보면 들어가질 때도 있었다. 크롬에서 다른 사이트는 문제가 없는데 티스토리 블로그 접속시에만 400 bad request 오류가 발생하는 것이다.
블로거들 오픈채팅방에 문의해보니 다른 분들은 현재 티스토리 블로그 이용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다고 한다. 또 나도 모바일 크롬으로 접속하면 문제가 전혀 없고, 데스크톱에서 엣지 브라우저로 열면 정상적으로 티스토리 블로그에 접속이 되었다.
즉, 내 컴퓨터의 크롬에서만 뭔가 문제가 생긴 것이다. 크롬 자체의 문제도 아니고 티스토리 블로그 접속할 때만 그러는 것이 이상한 점이다. 여기서 추측은 이번에 카카오 화재로 복구 과정에서 뭔가 브라우저 캐시가 이상한 상태가 되어서 이런 에러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구글링을 해도 뾰족한 해결방법이 나오지 않아서, 직접 이것저것 시도해보다가 의외로 간단히 해결을 했다.
해결방법 : 방문기록 삭제

🔺 크롬 우상단의 메뉴버튼을 누른 뒤, 방문기록으로 들어가 준다.

🔺 여기서 인터넷 사용기록 삭제를 눌러준다.

🔺 비밀번호는 체크해제하고 쿠키와 캐시 파일들을 한번 정리해주었다.

🔺 그러고 나니 바로 정상적으로 접속이 되는 모습이다. 블로그와 관리자 페이지 모두 문제없이 들어가진다.
티스토리 기록만 삭제방법
230530 내용추가. 위 2번의 해결방법으로 진행시 전체 쿠키와 캐시가 사라지면서 웹사이트에 자동 로그인 해놓았던 것들도 모두 풀려버린다. 이게 불편하다면 티스토리에 대해서만 삭제를 해서 400에러 해결하는 방법도 있다.

🔺 크롬 우상단 점 세개 버튼 > 설정 > 개인 정보 보호 및 보안 > 서드 파티 쿠키 > 모든 사이트 데이터 및 권한보기로 들어간다. 검색창에 tistory.com을 입력하고 티스토리가 나오면 휴지통 아이콘을 눌러서 지워주면 된다.
그러면 티스토리 이력 정보만 삭제되면서 다른 사이트는 건드리지 않고 400에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