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오피스 고수도 아니고, 일개 직장인으로써 업무중에 궁금한 기능 생기면 그때마다 구글 검색해가며 익히는 입장이다. 그래도 기껏 힘들게 찾은게 아쉬워서라도 이렇게 하나씩 포스팅 해놓으려고 한다. 적어노면 나중에 또 생각안나서 찾아볼때도 유용하다.
오늘 알아본 기능은 파워포인트에 있는 슬라이드 그룹화. 일명 구역나누기 기능에 관한 내용이다. 결론적으로 문제였던 파일 저장후 재오픈시 구역축소 풀리는 현상은 현재 해결 불가능한 것으로 확인했으며 이 내용이 궁금하다면 맨 아래 부분을 바로 보면 된다.
구역 나누기 기능이란?
발표용 자료야 그렇지 않겠지만, 일하다보면 데이터들을 몽땅 붙여놓는다던지 그동안의 업무 이력을 모아놓는다던지 해서 파워포인트 슬라이드 수가 매우 많아지는 경우가 있다.
슬라이드가 100페이지 200페이지 이렇게 많아지게 되면 나중에 뭐 하나 찾기도 힘들어진다. 찾기가 힘든 파일이 된다는 것은 점점 활용을 안하게 되고 애써 공들여 만든 수고를 날리는 셈이다.
그래서 이럴때는 날짜별, 주제별로 슬라이드를 그룹으로 묶어 놓으면 보다 편하게 열람할 수 있다.
🔺 파워포인트 구역 나누기 기능이란 이렇게 몇개의 슬라이드씩 그룹으로 묶어서 이름을 붙이고 관리한다는 것이다. 업무를 할 때 주제별로 이름을 매긴다던지 (1차 2차 3차) 날짜별로 정리한다던지 (3/15 4/20 5/13) 해서 한눈에 보기좋게 정리할 수 있다.
🔺 또 파워포인트 하단에 여러 슬라이드 보기 버튼을 누르면 (단축키 Alt + W + I 순서대로) 위와같이 지정한 구역별로 보여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슬라이드가 많은 경우 이렇게 구역을 나눠서 보기도 좋고, 또 관리하기도 편해진다.
구역 나누기 방법과 편집기능들
그렇다면 구역을 어떻게 나누고 관리하는지 살펴보겠다.
🔺 슬라이드를 선택한 상태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하면 메뉴창이 뜨는데, 여기에 구역추가가 있다. 선택된 슬라이드부터 뒤쪽의 슬라이드 전체가 하나의 구역으로 묶이게 된다.
🔺 5번 슬라이드부터 구역을 나눴더니 5번~끝 슬라이드가 하나의 구역이 되고, 앞에 1~4번 슬라이드가 기본 구역이라는 이름으로 설정되었다.
🔺 설정된 구역의 맨 위에 이름 부분에 대고 마우스 우클릭을 하면 이렇게 이름을 변경할 수 있다.
🔺 또 특정 구역의 슬라이드를 접어서 보기 깔끔하게 해놓거나, 이렇게 전체를 축소 또는 확장할 수도 있다.
🔺 구역의 이름부분을 드래그 해서 다른 위치로 끌고 가면 한번에 위치를 옮기는 것이 가능하다. 이 기능은 꼭 축소 상태가 아니라 확장된 펼침 상태에서 해도 된다.
구역 축소 상태로 저장은 안되나?
사실 구역 나누는 방법이야 특이할 것도 없는 기능인데, 문제는 일부는 축소해놓고 일부는 확장해놓은 상태를 유지하고 싶어서 찾아보다가 이 글까지 쓰게 되었다. 해보면 알겠지만, 파포 파일을 새로 열면 모든 구역이 확장 상태로 다 펼쳐져서 로드된다.
🔺 아니 이러면 그룹 10개로 나누고 7개는 접어놓고 3개 가지고 작업하는 식으로 편하게 하려고 쓰는 기능인데, 매번 파일을 열 때마다 다시 다 접어주고 하려면 그것 또한 귀찮은 일이 아닌가.
한글로 좀 찾아보다가 당연히 안나와서 영어로 검색을 해봤다. 파워포인트 사용언어가 한글로 되어있어서 구역이랑 축소를 뭐라고 하는지 단어를 알아내는데 한참걸렸네…. 영어로는 section, 그리고 축소 확장은 각각 collapse expand 이다. slide gruopp, zone 등등 온갖 단어로 검색해보면서 생쇼했다.
결론적으로 파워포인트 2016 현재 버전 기준에서는 아직 안된다는 것이다. 혹시 나랑 똑같은 문제를 찾다가 이 글을 보게 된다면 투표에 참여해서 공감 한번씩 해주시길 부탁드린다. 요청 투표수가 많은 기능은 MS에서 업데이트를 해줄지도 모르니…
댓글들을 보다보니 custom slide 기능을 쓰라는 소리도 있던데, 이건 전체 100개의 슬라이드가 있을 때 그 중 20개만 커스텀으로 지정해서 슬라이드 쇼 발표할때 일부만 나오게 하는 기능이다. 구역축소 상태로 저장이 안되는 문제하고는 다른 내용이고
또 어떤 사람은 Add in을 사용하면 된다는데 뭔지 모르겠다. 파워포인트에도 플러그인 같은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건가? 일단 메일을 보내서 요청을 해볼 생각인데 무료로 이용 가능한지는 의문. 만약 애드인 이라는 것으로 이 문제가 해결된다면 포스팅에 내용을 업데이트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