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로 로그인하여 댓글을 달 수 있는, 블로거 관점에서 보면 획기적이라 할 수 있는 서비스 라이브리(LiveRe)를 이용해보았다. 그러나 오래 사용치 못하고 플러그인 삭제를 결심하게 되었다. 라이브리 서비스의 장단점을 간략히 살펴본다.

라이브리의 가장 큰 장점은 포털사이트 뉴스댓글창처럼 블로그 댓글창이 활기찬 느낌으로 변한다는 것이다. 방문자가 SNS로그인을 해서 댓글을 다니까 여러 SNS서비스의 아이콘들이 보이고, SNS의 실이용자들의 솔직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댓글창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 라이브리 설치방법 또한 매우 간단하다. 여기까지가 유일한 장점.
단점은 일단 댓글 확인이 불편하다. 라이브리 APP도 있는데, 블로그 주인장이 댓글확인하는 용도로는 아무런 쓸모가 없고, 자기 블로그의 새 댓글 확인은, 라이브리 홈페이지를 켜놓거나 이메일 알림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이메일 알림을 확인하고 거기에서 댓글리 달린 포스팅 링크를 눌러들어가서 댓글창 확인하는 방법 뿐.
두번째로, 티스토리 연동이 안된다. 나만 문제가 있는건지 모르겠는데,,, 익스플로러11과 크롬, 그리고 모바일에서도 티스토리 권한 허가하기를 누른 후 HTTP 500 에러가 지속 발생해서 문의를 했는데, 라이브리 고객센터와 얘기하다가 암에 걸릴 뻔 했다. 메일로 주고받은 라이브리 고객센터 문의내용을 간단요약하면,
Q1 : 라이브리 댓글확인 어떻게 하나요, 그리고 티스토리 로그인이 에러나는데 어떻게 해야 하죠?
A1 : 댓글확인은 이메일 통해서 가능합니다.
Q2 : 네, 근데 다른 SNS연동은 되는데 티스토리 아이디로 들어가면 에러가 납니다.
A2 : 티스토리 블로그 개설되어 있어야 이용이 가능합니다.
Q3 : ??? 당연히 티스토리 블로그 운영중이고 댓글창에서 티스토리 ID 로그인하면 안된다고요.
A3 : 정확한 내용을 url과 캡쳐로 보내주시면 확인해 보겠습니다.
보냈는데 그 후로 답변 없음. 그래서 다음 고객센터에도 문의함.
다음 티스토리 고객센터에서도 잘 모른다고 라이브리에 문의해야 된다고 함. 이 답장을 보고 그냥 라이브리 플러그인 설정해지 클릭. 휴
마지막으로 라이브리의 또한가지 단점은, SNS로그인해서 댓글을 달 뿐 다른 SNS서비스와 전혀 소통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을 해서 댓글을 달았다고 해도, 네이버me 같은데서 댓글에 답글이 달리는 것을 볼 수 없다. 라이브리 어플이나 홈페이지를 이용해야만 나의 댓글활동 내역확인이 가능하다.
또 한가지는 라이브리에서 무심코 공유하기 (기본적으로 체크되어 있음)를 누르고 댓글 작성하는 경우, 본인의 SNS에도 댓글내용이 올라간다는 것이다.
네이버 블로그나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에 본인이 댓글을 단 내용과 해당 라이브리가 있는 포스팅의 url이 씌여진다. 한마디로 자동으로 남 홍보해주는 셈, 한번 이걸 겪고 지운 사용자는 다신 라이브리를 이용하지 않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SNS 아이디로 로그인 할 수 있는 기능만 있지, 정작 해당 SNS 사용자와 전혀 소통이 되지 않으며 댓글 확인도 불편한 매우 완성도가 떨어지는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사이트 자체 회원가입이 있는 기업 홈페이지에나 쓸만하고 (SNS 아이디로 회원가입 가능하게) 일반 블로그에는 그냥 비로그인 댓글작성 허용을 해놓는게 훨씬 낫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