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튼셀 종류와 규격 호환되는 제품명

이 글에서는 버튼셀 종류와 규격 호환되는 제품명에 대해 정리하였다. 현대 전자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발맞춰 버튼셀 배터리는 필수적인 전원 공급원으로 자리매김했다. 크기와 용량이 다양한 이 전지들은 각각의 용도에 맞춰 최적화된 성능을 제공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통용되는 표준화된 규격 체계를 갖추고 있다.

전자제품의 진화와 함께 버튼셀 배터리 기술도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다. 과거 수은 전지가 주류를 이루던 시절과 달리, 현재는 환경 친화적인 소재를 활용한 다양한 제품들이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용도별 최적화와 안전성 강화에 초점을 맞춘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버튼셀과 코인셀 차이점

버튼셀 종류 규격

전원장치의 외형적 특징에 따라 버튼셀과 코인셀로 대별된다. 버튼셀은 둥근 단추 형상을 띠며, 코인셀은 얇은 동전과 흡사한 모양새를 보인다.

규격 표기에서도 차이점이 드러나는데, 버튼셀은 3자리 숫자로, 코인셀은 4자리 숫자 체계로 구분된다.

환경 보호의식이 고조되면서 수은 함유 제품은 자취를 감추었고, 현재는 알카라인, 리튬, 산화은 등 친환경 소재를 기반으로 한 제품군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이러한 전지들은 시계부터 의료기기, 자동차 스마트키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응용 분야를 확보했으며, 직경 4.8mm에서 30mm, 두께 1.0mm에서 7.7mm에 이르는 다양한 규격으로 생산된다.



버튼셀 제품명 명칭 규칙

버튼셀 배터리의 명칭은 화학적 성분과 물리적 치수 정보를 함축적으로 내포한다.

CR계열은 리튬 망간 이산화물을,

LR계열은 알카라인을,

SR계열은 산화은을 지칭한다.

코인셀의 경우 앞쪽 두 숫자는 직경을, 뒤쪽 두 숫자는 두께를 밀리미터 단위로 표현한다.

현재 시장에서 유통되는 주요 규격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 CR2032 : 직경 20mm, 두께 3.2mm 규격으로 225mAh 용량 제공
  • CR2025 : 20mm 직경에 2.5mm 두께로 중간급 용량 구현
  • CR2016 : 20mm 직경, 1.6mm 두께로 90mAh 용량 확보
  • AG13 : 알카라인 계열로 11.6mm 직경과 5.4mm 두께 채택
  • SR44 : 산화은 전지로 높은 안정성과 정밀한 전압 유지
  • LR41 : 소형 알카라인으로 의료기기에 광범위하게 사용



버튼셀 호환 가능 제품

전지 제조사와 국가별로 상이한 명칭 체계를 채택하고 있으나, 동일 규격 제품 간에는 상호 호환이 가능하다. 대표적으로 LR44는 AG13, SR44, LR1154, 303 등 다양한 명칭으로 시장에 공급되고 있으며, 이들은 완벽한 대체재 관계를 형성한다.

버튼셀 종류 규격
버튼셀 호환 가능한 종류 (다이소)
  • LR41 : AG3, SR41, LR736, 384, CX31
  • LR43 : AG12, SR43, LR1142, 386, CX189
  • LR44 : AG13, SR44, LR1154, 303, CA18, CA19
  • LR54 : LR1130
  • LR66 : AG4, SR66, LR626, 377
  • LR69 : AG6, SR69, LR920, 370, CX69

국제 시장에서는 홍콩, 국제표준기구(IEC), 일본, 미국 등 주요 국가별로 독자적인 규격 체계를 운영하고 있으며, 각각의 호환성 정보는 국제 표준 변환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표준화 노력은 글로벌 시장에서의 원활한 제품 유통과 소비자 편의성 증진에 기여하고 있다.

다이소 재고위치 찾는 방법 >



전압과 용량 특성

화학계열공칭전압자기방전율온도특성주요용도
리튬계3.0V2%/년-20~70℃고성능기기
알카라인계1.5V5%/년0~50℃일반가전
산화은계1.55V3%/년-10~60℃정밀기기

리튬 계열 버튼셀은 탁월한 저온 특성과 낮은 자기방전율이 특징이다. -20℃에서 70℃에 이르는 광범위한 사용 온도 범위를 제공하며, 연간 2% 미만의 미미한 용량 손실만을 보인다. CR2032의 경우 0.2mA의 안정적인 연속 전류 공급이 가능하며, 순간 최대 전류는 16mA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

과도한 전류 부하는 급격한 전압 강하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용도에 적합한 용량 선정이 중요하다. 또한 최근에는 충전식 버튼셀 배터리도 개발되어 특수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일회용 제품이 시장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다. 향후 기술 발전에 따라 충전식 제품의 시장 점유율이 점진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평점 4.9 / 5. 참여 : 25

첫번째 평가를 남겨주세요!

0 Comments
Newest
Oldest Most Voted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